보안 전문가가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해 아파트 단지 내 스마트홈 시스템, '월패드'에 접속합니다. <br /> <br />전화를 걸어 옆집을 몰래 볼 수도 있고, 보일러나 전등을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메인 서버에 설치된 스마트홈 시스템의 방화벽이 외부 공격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단지 내에서 시도한 해킹엔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다시 말해 한 가구만 해킹에 성공해도 공용 망을 통해 다른 가구를 쉽게 해킹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[이용일 / 사이버 보안 업체 대표 : 해킹의 통로가 마련되는 거죠. 마찬가지로 홈네트워크도 어떤 한 세대가 해킹을 당하면 그걸 통해서 연결돼있는 거죠, 홈네트워크로.] <br /> <br />최근 이런 취약점을 악용해 국내 아파트 월패드 카메라로 불법 촬영한 영상이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는 이른바 '다크웹' 사이트에 유포되면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해킹된 아파트 지역과 이름 7백여 곳이 공개돼 해당 아파트 주민들은 사생활 유출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영상 유출이나 유통 여부를 확인하면서 해커를 추적하고 있지만,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응 방법이 사실상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[이용일 / 사이버 보안 업체 대표 : 이런 문제를 일반 개인한테 뭔가 조치를 취하고 일반 개인들 조심하세요, 이렇게 하는 것은 문제 해결이 안 되고요. 일단 홈네트워크 기기 들어가는 장비들, 장치들, 시스템들이 도입되기 전에 보안성 검토라든지.] <br /> <br />해킹당하면 카메라 램프에 불이 들어오는 경우도 있지만, 불을 끈 상태로 녹화하는 해킹 기술도 가능해 개인이 알아채는 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결국, 피해를 막기 위해선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렌즈는 가려두는 방법뿐입니다. <br /> <br />또 홈네트워크 장비들은 반드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합니다. <br /> <br />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, 국토교통부는 추가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세대 간 망 분리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엄윤주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12710222931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